React 파고들기

React의 Hooks는 어떻게 동작하는 걸까요?

직접 만들어보며 분석하는, React Hooks - 1

React Hooks은 마법이 아니에요

제가 React Hooks를 처음 접했을 때, 마치 마법 같이 느껴졌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비슷하게 느꼈을 것 같습니다.

기존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this.state는, 그 인스턴스의 하위 속성으로 가지고 있으니 특별히 신기할 게 없었습니다. 반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사용되는 useState는 대체 어디에 저장되고, 어떻게 유지되는 걸까요? 심지어 함수형 컴포넌트는 재렌더링 시마다 다시 실행되는데, 그렇다면 useState와 같은 훅도 다시 실행되는 것일텐데, 어떻게 그 값이 유지될 수 있는 걸까요? 마법과 같은 부분이 있는데, 반면 동시에 이런 특이한 조건들이 있다는 것은 더욱 갸우뚱하게 만들었습니다.

저와 같은 호기심을 가진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React Hooks의 동작 방법을 분석해보았습니다. 이를 직접 따라 구현해보며 따라가봅시다!

아래부터는 React Hooks을 ‘훅’이라고 표현할게요

리액트 살펴보기

훅의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될까요?

useState든, useEffect든, useRef든, 모든 훅들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요. 그럼 이걸 어떻게 저장하고 있는 걸까요?

훅의 데이터는 리스트 구조에 저장돼요!

결론적으로 리액트에서의 구현에선, 각 컴포넌트마다 훅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리스트 구조가 존재합니다.

훅이 불리는 순서로 리스트에 접근해요!

그렇다면,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훅을 사용할 때 우리는 별도의 키 값을 넘긴 적이 없는데 말이죠.

물론 키값을 기반으로 구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만, 리액트는 컴포넌트 함수 안에서 훅이 불리는 순서로 이 배열에 접근합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훅의 특이한 조건들이 있는 거죠.

  • 최상위 레벨에서만 훅을 호출할 것
  • React 함수에서만 훅을 호출할 것

최상위 레벨에서만 훅을 호출하지 않으면, 상황에 따라 훅의 순서가 바뀔 수 있어요. 그러니 제대로 동작하지 않겠죠. 최상위 레벨에서만 훅을 호출하라는 것은, 다음을 금지한다는 뜻이기도 해요.

  • 조건이나 루프 안에서 훅을 호출하지 마세요.
  • 조건부 return 문 뒤에 훅을 호출하지 마세요.
  • 이벤트 핸들러에서 훅을 호출하지 마세요.
  • 클래스 컴포넌트에서 훅을 호출하지 마세요.
  • useMemo, useReducer, useEffect로 전달된 함수 내에서 훅을 호출하지 마세요.
  • try/catch/finally 블록 내에서 훅을 호출하지 마세요.

처음엔 이상하게 느껴졌던, 이 조건들. 이제 이해가 되시나요? 모두 컴포넌트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훅의 호출 순서를 바꿀 수 있는 상황들이에요!

실제 리액트에서는 어떻게 구현하고 있을까요?

실제로 리액트에서는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볼까요? 먼저, react 패키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호출만 하고 있어요.

// react 패키지의 ReactHooks.js
export function useState<S>(
  initialState: (() => S) | S,
): [S, Dispatch<BasicStateAction<S>>] {
  const dispatcher = resolveDispatcher();
  return dispatcher.useState(initialState);
}

function resolveDispatcher() {
  const dispatcher = ReactSharedInternals.H;
  return ((dispatcher: any): Dispatcher);
}

그렇다면, dispatcher는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가 실제 핵심을 담고 있겠네요! 이 부분은 react-reconciler 패키지에 담겨 있어요.

ReactSharedInternals.H =
  current === null || current.memoizedState === null
    ? HooksDispatcherOnMount
    : HooksDispatcherOnUpdate;

const HooksDispatcherOnUpdate: Dispatcher = {
  readContext,
  // ...
  useState: updateState,
  // ...
};

function updateState<S>(
  initialState: (() => S) | S,
): [S, Dispatch<BasicStateAction<S>>] {
  return updateReducer(basicStateReducer, initialState);
}

function updateReducer<S, I, A>(
  reducer: (S, A) => S,
  initialArg: I,
  init?: I => S,
): [S, Dispatch<A>] {
  const hook = updateWorkInProgressHook();
  return updateReducerImpl(hook, ((currentHook: any): Hook), reducer);
}

let currentHook: Hook | null = null;
let workInProgressHook: Hook | null = null;

function updateWorkInProgressHook(): Hook {
  let nextCurrentHook: null | Hook;
  if (currentHook === null) {
    const current = currentlyRenderingFiber.alternate;
    if (current !== null) {
      nextCurrentHook = current.memoizedState;
    } else {
      nextCurrentHook = null;
    }
  } else {
    nextCurrentHook = currentHook.next;
  }

  let nextWorkInProgressHook: null | Hook;
  if (workInProgressHook === null) {
    nextWorkInProgressHook = currentlyRenderingFiber.memoizedState;
  } else {
    nextWorkInProgressHook = workInProgressHook.next;
  }

  if (nextWorkInProgressHook !== null) {
    // There's already a work-in-progress. Reuse it.
    workInProgressHook = nextWorkInProgressHook;
    nextWorkInProgressHook = workInProgressHook.next;

    currentHook = nextCurrentHook;
  } else {
    // Clone from the current hook.

    if (nextCurrentHook === null) {
      const currentFiber = currentlyRenderingFiber.alternate;
      if (currentFiber === null) {
        throw new Error(
          'Update hook called on initial render. This is likely a bug in React. Please file an issue.',
        );
      } else {
        // This is an update. We should always have a current hook.
        throw new Error('Rendered more hooks than during the previous render.');
      }
    }

    currentHook = nextCurrentHook;

    const newHook: Hook = {
      memoizedState: currentHook.memoizedState,

      baseState: currentHook.baseState,
      baseQueue: currentHook.baseQueue,
      queue: currentHook.queue,

      next: null,
    };

    if (workInProgressHook === null) {
      // This is the first hook in the list.
      currentlyRenderingFiber.memoizedState = workInProgressHook = newHook;
    } else {
      // Append to the end of the list.
      workInProgressHook = workInProgressHook.next = newHook;
    }
  }
  return workInProgressHook;
}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여러 함수가 호출되고 있네요. 그래서 좀 길게 느껴지지만, 결국 다음이 핵심일 것 같네요.

let currentHook: Hook | null = null;
let workInProgressHook: Hook | null = null;
let currentlyRenderingFiber: Fiber = (null: any);

function updateWorkInProgressHook(): Hook {
  let nextCurrentHook: null | Hook;
  if (currentHook === null) {
    const current = currentlyRenderingFiber.alternate;
    if (current !== null) {
      nextCurrentHook = current.memoizedState;
    } else {
      nextCurrentHook = null;
    }
  } else {
    nextCurrentHook = currentHook.next;
  }

  let nextWorkInProgressHook: null | Hook;
  if (workInProgressHook === null) {
    nextWorkInProgressHook = currentlyRenderingFiber.memoizedState;
  } else {
    nextWorkInProgressHook = workInProgressHook.next;
  }

  // ...
      currentlyRenderingFiber.memoizedState = workInProgressHook = newHook;
  // ...

  return workInProgressHook;
}

모듈 안에서 전역 변수로 currentHook, workInProgressHook, currentlyRenderingFiber에 현재 작업 중인 훅 데이터를 가리키게 하고, 불리는 순서대로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Fiber는 리액트에서 가상 DOM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재조정(Reconcilation)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도입한 구조이자 알고리즘이에요. 여기서 다루기엔 너무 내용이 방대해 다루지 않으나, 당장은 단순히 가상 DOM과 대응될 수 있는 트리 구조의 무언가라고만 생각해도 충분해요.
https://github.com/acdlite/react-fiber-architecture

불리는 순서에 따라 훅 데이터에 접근하고, 현재 작업 중인 Fiber Node에 이를 기록해놓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요. 더불어, Hook은 다음과 같이 연결 리스트로 구현되어 있군요!

export type Hook = {
  memoizedState: any,
  baseState: any,
  baseQueue: Update<any, any> | null,
  queue: any,
  next: Hook | null,
};

useState와 같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엔, HookbaseQueueupdate 함수를 호출함을 확인할 수 있어요.

마무리

다음 글에서, 위 원리들을 naïve하게 적용해 간단한 구현을 해볼게요!